형상관리 툴 SVN 사용해보기
svn은 버전관리 혹은 형상관리 툴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회사나 그룹으로 작업할 때 원활한 작업물의 공유를 도와주는 툴이다.
하나의 서버를 공유하여 실시간으로 소스를 업데이트하고 또 받을 수 있다.
작업 로그(이력)을 확인하여 오류가 나타난 시점을 확인할 수 있고 유저도 확인할 수 있다.
서버가 구축이 된 상태를 가정한 유저 입장에서의 사용 가이드
(서버는 누군가 만들거나 서버 호스팅 서비스를 사용하면 자신의 서버가 없어도 서비스가 대신 서버를 구축해주는 것이다. 유무료 다양함. Git의 경우 유명한 무료 호스팅 서브인 Github가 존재한다.)
다운로드 하기
바탕화면 우클릭-더많은 옵션 표시-SVN check out 클릭
서버 주소 입력하고 ok 누른다. (서버 구축자가 url을 공유해줌)
유저 아이디랑 비밀번호 입력하면 완료 (서버 구축자가 등록한 것)
서버 구축자가 지정한 저장소가 내 바탕화면에 나타난다.
아무 폴더나 만들어서 커밋(서버에 올리기)를 해보자.
폴더 만들고 빈공간 우클릭 - (윈도우12라면 더많은옵션보기 클릭) commit
파일 선택하고 ok누르면 내 폴더가 서버에 올라간다.
항상 수정이나 업로드를 하면 커밋을 해줘야 다른 유저가 볼 수 있다.
같은 서버를 공유하는 사람들이 우클릭 - SVN update를 누르면 서버에 공유된 파일을 볼 수 있다.
다른 유저가 올린 파일들이 주르륵 뜬다.
이런 식으로 내가 수정하거나 올리면 커밋, 최신 버전을 보려면 업데이트를 하면 된다.
전에 github 사용하는 글을 올렸었는데 비슷한 버전 관리 프로그램이지만 차이점이 명확한 것 같다.
깃은 비교적 복잡하고(그래서 gui같은 게 있다) svn은 굉장히 간편하고 간결하다는 인상을 받았다.(깃은 아티스트들 울렁증 유발하게 생겼다)
그래도 깃은 깃허브라는 대중적인 서비스가 있어서 좋은 것 같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블록스 Roblox Studio 기초부터-2- (0) | 2022.04.28 |
---|---|
로블록스 Roblox Studio 기초부터-1- (1) | 2022.04.25 |
GitHub 쉽게 사용하는 방법(feat.GUI) (1) | 2021.06.03 |
간단한데 막상 하면 시간순삭되는 자취생 닭도리탕 (0) | 2021.05.25 |
분식집st 떡볶이 해먹기 (0) | 2021.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