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3's 게임&애니메이션 Archive

기타

게임 업계 직군과 취업

243 2022. 5. 6. 14:11

 

프로그래머 직군

 

-클라이언트

-엔진

-서버

 

-TD

 

서버는 게임이 돌아가는 로직.

클라이언트는 우리가 보는 화면

 이 두가지가 기본이고 엔진 팀이 별도로 있는 회사도 많다.

 

티디는 기술 책임자이다.




기획 직군 (Design)

 

-시스템

-컨텐츠

 

-설정 / 전투 / 레벨

 

-Director

-TD (Technical Designer)

 

시스템은 게임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뼈대를 기획한다.

컨텐츠 기획자는 시스템 위에 컨텐츠라는 살을 붙인다. 

전투 시스템이 있다면 어떤 몬스터가 나오는지 등등

 

세부적으로 설정 / 전투 / 레벨 팀이 따로 존재하기도 한다.

 

디렉터는 기획 직군이라기에 애매한 부분도 있지만 기획자 출신이 많다.

회사마다 다르지만 기획에 가깝기도 하고 총괄/프로듀싱에 가깝기도 하다.




아트 직군

 

-원화

-배경

-모델러

-애니메이터

-이펙터

-UI

 

-AD (Art Director)

-TA (Technical Art)

 

한 프로젝트에 가장 많은 직군이다.

AD는 아트 직군의 총괄 느낌 

TA는 아트와 기술을 동시에 고려하여 밸런스를 맞추는 중간다리 역할을 한다.

아트 베이스와 공학 베이스가 있는데 아직은 아트 출신이 많다.




그 외 직군

 

-사운드

-QA (TQA / FQA)

-PM (개발PM / 운영PM)

-사업

  

사운드는 팀이 있기도 하지만 외주를 맡기거나 사는 일도 많다.

QA는 게임을 테스트하는데 기술QA와 재미(fun)QA로 나뉘기도 한다.

PM은 게임을 진행하는데 사업적인 측면에서 일정을 관리하고 매니징하는 역할을 한다.

사업은 퍼블리셔가 따로 하는 경우가 많다.




개발 진행

 

  • 보통 마일스톤 단위로 끊어서 진행 (Agile)
  • 마일스톤을 반복하면서 게임을 완성해감
  • 온라인 게임의 경우, 업데이트 단위도 마일스톤 단위로 업데이트 함

 

기획 > 아트 > 프로그램 > QA




기획서 작성

                   아트 리소스 제작

                                              컨텐츠 구현

                                                                 검증




개발 도구

 

-버전 컨트롤 툴 ( Source Control )

   Perforce / Git / SVN

 

-이슈 트래커

   Jira / Redmine / Azure DevOps / Trello

 

-문서 공유

  Confluence / Wiki

 

메신저

  Slack / Microsoft Teams




취업 

 

-취업 문서 작성

 

    자기소개서 / 이력서 / 포트폴리오

    문서의 퀄리티는 서류전형을 통과할 정도면 됨

    자기소개서는 나를 뽑아야할 이유를 제시해야 한다.

 

자신이 한 부분에 대해 잘 설명해야하며, 자신의 고민이 들어간 내용이면 좋다.\

 

  • 자신이 작업한 부분 아니면 들킬 확률 높다
  • 잘 모르는데 퀄리티를 위해 막 넣으면 안됨
  • 포트폴리오에 넣을 내용은 확실히 숙지할 것
  • 사용한 기술과 왜 그것을 사용했는가
  • 문제 발생 시 어떤 과정으로 해결했는가

 

자소서와 포폴은 면접을 대비하여 질문할 만한 부분을 만들어놓는 것이 좋다.



최대한 많은 곳에 지원하기

지원할 회사 게임 해보기

프로그래밍 관련 서적 읽기

최신 트렌드 파악하기



면접

 

면접 전에 테스트나 과제가 있었다면 그 내용을 확실히 알고 들어갈 것

  • 틀렸던 부분을 보완하면 더 높은 점수를 얻음

 

모른다고 당황할 필요 없다. 어차피 다 알거라 생각x

  • 모르더라도 아는데까지 말하는 성의 필요
  • 거짓말 x (들킴)

 

최대한 논리적인 사고를 통해 말하기



추천 서적



그래픽스

  • 셰이더 프로그래밍





수학

  •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머에게는 더욱 중요
  • 그래픽스 관련한 수학과는 더욱 친해져야 함
  • 벡터 / 행렬 / 좌표계 / 충돌 / 쿼터니온 (사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