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번 작업계획에 이어 작업일지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제가 저번에 카메라 맵핑을 활용할 계획이라고 했었는데,
정확하게 어떤 프로그램을 사용할거다라고 정하질 않았었는데 사실 블렌더, c4d중에 고려를 하고 있었거든요.
프로젝션 맵핑이야 원래 있던 개념이고 MAYA로도 할 수 있긴 한데 다른 프로그램도 사용해보고 싶고 해서
이번 테스트를 두 프로그램으로 진행해 보았습니다.
<MAYA로 진행할 때>
maya를 키고 테스트용이니까 진짜 간단하게 플레인에 오브젝트 몇가지만 둔다.
기본렌더든 아놀드 렌더든 렌더 해준 뒤 포토샵으로 들고 간다
테스트니까 대강 색칠을 해본다. 이미지 파일로 저장 후 다시 마야로
(화질이 왜이러지..?) 오브젝트 전체 선택하고 램버트 재질을 입혀줍니다.
Color부분에 체커보드 아이콘 누르고 선택하는거에서 File 우클릭 드래그 하면 create as projection 선택 가능
이미지에 좀전에 그린 파일 꽂아주고 요로코롬 밑줄 친 거만 바꿔주면 된다
그럼 일단 이렇게 잘 맵핑이 됐는데, 맵핑한 카메라 잠시 냅두고(얘는 위치 각도 바뀌면 안되기 때문에 락 걸어놓고 건들지 맙시다) 퍼스펙티브 뷰로 가보면
요로코롬 바닥에도 그림이 똑같이 묻어서 분신술처럼 갈라져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걸 해결하려면 only바닥만 있는 이미지를 플레인에 먹여줘야 합니다.
이렇게 대강 바닥만 나오게 뽑아서
기존 머티리얼 복사해서 이미지만 바꿔주고 플레인에 꽃아주면 이렇게 깔끔해지게 됩니다.
카메라에 키를 줘봤습니다.
각도가 심하게 틀어지면 일루전이 깨져버리니 주의해야 합니다.
여기까지 마야 테스트
<CINEMA4D로 할 때>
똑같이 플레인에 오브젝트 몇가지 놔줍니다.
대강 렌더하고 대강 포토샵으로 그려줍니다..ㅎㅎ.
기본 머티리얼 하나 만들고 Luminance만 체크해줍니다.
루미넌스 탭-텍스처 파일에 그린 이미지 꽂아주고 머티리얼 한 번 클릭하면 나오는 창의 Tag탭을 이런식으로 바꿔줍니다. 마야처럼 프로젝션 맵핑으로 바꿔주는 작업입니다. 카메라는 아까 렌더이미지 찍었던, 맵핑될 카메라로 지정해주면 됩니다. Calculate 버튼 눌러주고 Tile 체크해제.
머티리얼을 먹이기 전에 오브젝트 그룹을 만들어서 그 그룹에 머티리얼을 꽂아줍니다.
쨘~
원래는 아까 마야때처럼 바닥에 분신술 쓰고 있는데 똑같이 플레인에 이미지 따로 먹여줬습니다.
이게 그 머티리얼입니다. 똑같은 과정이라 굳이 쓰진 않겠습니다.
테스트 결과물~~
----------------------------
이렇게 해서 두가지 프로그램으로 테스트를 마쳐보았는데요,
둘이 원리도 똑같고 결과물도 비슷하지만 저는 시포디를 이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유는...
1. 오브젝트 그룹 관리가 편하다.
2. 머티리얼 관리와 적용이 매우 편하다.
카메라 맵핑할 때 사실 이 두가지가 편하면 장땡이라, 관리가 직관적이고 편한 시포디를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다만 문제는..저는 시포디를 이 테스트로 처음 사용해보기 때문에 완전 초보병아리인 상태입ㄴ디ㅏ...
이 간단한 테스트를 하면서도 답답해서 머리를 쾅쾅 치고 싶었는데요,
툴이야 뭐 배우면 되는거니까 날 잡고 초급수준 정도는 떼야할 듯 싶습니다.
제가 이 테스트를 하기 전까지는..막 어려움이 있을 줄 몰랐는데 생각보다 제가 프로젝션 맵핑에 대한 개념이 부족한 상태였어서 이번에 정말 맨땅에 헤딩하는 기분을 느꼈습니다만 무사히 테스트를 마치고 나니 무척 뿌듯하네욤.
암튼 제가 좀 더 제대로 된 테스트를 하고 싶었지만 프로젝션 맵핑에 대한 이해 + 시포디 발들여놓기 에 예상보다 시간을 많이 할애해서 다음주에는 프로토타입 제작을 해보려 합니다.
감사합니다!!

'작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0417작업일지]미래도시 프로젝트 이미지보드 (1) | 2022.04.17 |
---|---|
[0410작업일지]미래도시 프로젝트 프리 프로덕션 (0) | 2022.04.11 |
[0403작업일지]카메라 맵핑 프로젝트 프로토타입 제작2 (0) | 2022.04.04 |
[0327작업일지]카메라 맵핑 프로젝트 프로토타입 제작을 위한 지오메트리 (0) | 2022.03.28 |
계획중인 작품 방향성에 대해 (feat.아케인 제작 방식 이야기) (0) | 2022.03.02 |